
2,846명 참여 ‘역대 최다’ 여론조사 응답
통일 필요 찬성 여론 76%, 정부 통일 정책 여론 동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휴스턴협의회와 코리아월드가 주관한 “2022년 해외동포 대상 평화통일 인식 여론조사” 전체 응답자 2,846명 가운데 2,178명(76.5%)이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 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630명(22.1%)보다 3.5배 가량 높게 나타 났다.
지난해 11월 부터 12월 18일까지 실시 된 이번 여론 조사 참여자는 성별로는 남성 66%, 여성 33%로 나타 났고, 설문 참여 연령대는 18세~29세 27%, 30대 31%, 40대 16%, 50대 11%, 60대 9%, 70대 이상 6%으로 나타 났다. 거주지역은 미국을 포함한 아메리카 지역이 전체의 68%, 대한민국 15%, 아태평양 12%, 유럽/중동/아프리카 5% 분포를 보였다.
응답자의 정치 성향은 매우 진보적이거나 다소 진보적이라고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의 약 63%, 중도 16%, 매우 보수적 또는 다소 보수적이라는 응답이 18% 가량으로 나타나면서 이번 설문결과는 진보적 성향을 가진 참여자 여론이 보다 적극 반영 됐다고 해석 된다. 특히, 통일 필요성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전체의 76% 응답자는 통일 필요성의 이유에 대해 민족의 동질성 회복(35%)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경제 발전 및 국제적 위상강화(27%), 전쟁 위험 해소(26%), 자유 실현 및 인권 향상(10%)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사회문화적 차이 40%, 사회 불안 및 실업률 증가 24%, 미국과 중국 등 주변국들의 관계 20%, 통일비용 13%을 이유로 든 응답을 보였다.
바람직한 한반도 미래상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은 한국어 설문 응답자와 영어 설문 응답자가 유일하게 다른 결과의 통계가 나타나 눈길을 끈다. 앞선 응답항목은 한국어 설문과 영문 설문에 대한 응답 순위가 동일한 결과를 보였지만 해당 항목은 1,2위 응답 다르게 나타났다. 한국어 설문 응답자는 동서독처럼 통일된 형태(42%, 영어 응답자는 40%)를 가장 높게 응답 했고, 영어 설문 응답자는 유럽연합 처럼 경제 교류 협력이 자유로운 상태(45%, 한국어 응답자는 31% )에 대해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이 밖에 미국과 캐나다처럼 좋은 이웃 상태로 응답한 답변은 전체의 21% 가량이다. 통일에 대한 예상 시기는 전체 응답자의 39% 30년 이내에 통일이 가능 할 것이라고 전망했고, 10년 이내 36%가 전체 응답자의 19%는 50년 이내 또는 이후에나 통일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남북통일 주체 세력들에 대한 응답은 남한과 북한이라는 응답(31%)과 남한, 북한, 미국 중국(33%)가 높게 나타 났다. 일본과 러시아까지 포함 한 응답도 19%, 남한을 제외한 미국과 북한이라는 응답도 16%로 나타났다.
향후 남북관계에 대한 기대는 매우 좋거나(23%), 다소 좋아질 것(40%)으로 예상하는 응답이 전체의 63%로 나타 났고, 다소 나빠질 것 14%, 매우 나빠질 것 5%으로 예상하는 부정 평가가 19% 차지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46%가 협력 내지 지원대상으로 응답, 경계 내지 적대 대상이라는 응답은 37%로 갈렸다. 별로 상관 없는 대상이라는 응답도 14%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가 제시한 통일/대북정책 관련국정과제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남북관계 정상화가 3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한 비핵화 26%, 국민과 함께하는 통일준비 24%, 남북간 인도적 문제 해결 도모 15%로 응답했다.
현 시점에서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북정책 과제에 대한 질문에는 남북대화 재개가 29%로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고, 이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국제사회 공조 강화 21%, 코로나19 백신 제공 등 인도적 지원 20%, 한미일과 군사협력 강화 19%, 국민적 합의 도출 9% 순으로 응답했다.
우리 정부의 통일 청사진 및 정책과 방향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 약간 알고 있다-36%, 잘 알고 있다-25%, 매우 잘 알고 있다-17%로 응답하며 전체의 77%가 어느 정도 알고 있었고, 17%는 잘 모르고, 5%는 전혀 모른다고 응답했다.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 비핵화와 남북협력 병행(26%), 선비핵화 원칙을 견지(23%), 경제적 제재강화(21%), 대북 군사적 제재 강화(18%), 외교적 해법 모색(11%)순으로 응답 했다.
“국민과 함께하는 통일 준비”를 국정 과제로 제시한 윤석열 정부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통일 준비를 위한 가장 중요한 것에 대한 질문에 참여자들은 통일에 대한 국민적 지지 형성(28%), 통일교육 및 인력 양성(24%), 통일방안 재구성(20%), 통일을 위한 법제도 개선(19%), 국제사회의 지지 확보(9%) 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설문의 마지막 항목, 지속가능한 대북 정책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에 가장 필요한 과제에 대한 질문에는 초당적 협력을 통한 대북 통일 정책 추진이 40%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학교, 사회 차원의 남북 관계 역사 및 평화 통일 교육 활성 35%, 세대, 이념, 지역, 계층 간 소통 기회 확대 24% 순으로 나타 났다. <편집국>